
인도네시아 군 퇴역 장성들이 국가자문의회(MPR)에 기브란 라카부밍 라카(Gibran Rakabuming Raka) 부통령을 해임해 줄 것을 공식적으로 요청했다.
28일 템포에 따르면 이들 퇴역 장성들은 선거법 위반을 이유로 들어 부통령의 교체를 요구하고 나섰다.
기브란 라카부밍 라카는 대선 당시 논란의 중심에 있었다. 기존 선거법에 따르면 만 40세 이상만 대통령·부통령 선거에 출마할 수 있으나, 조코위의 매제 안와르 우스만(Aanwar Usman)이 이끄는 헌법재판소가 선거법을 바꿔 선출직 공무원은 적용하지 않는 예외 조항을 만들면서 기브란은 출마할 수 있었다.
조카에게 ‘출마 우회로’를 만들어 준 안와르 우스만은 헌재소장직에서 물러나야 했지만 기브란은 결국 인도네시아의 부통령이 되었다.
대통령실과 MPR ‘신중론’
정치안보분야 대통령 특별고문 위란토(Wiranto)는 기브란 부통령의 해임 요구를 포함해 군 퇴역장성 포럼이 제시한 8가지 요구사항을 대통령이 존중하고 있다고 전했다.
위란토는 군인 출신인 프라보워 대통령이 퇴역 장성들의 우려를 누구보다 이해하고 있지만 부통령 해임 요구에 대해 신중할 수밖에 없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그는 인도네시아가 삼권분립 체제를 갖추고 있는 만큼 대통령의 권한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아흐마드 무자니(Ahmad Muzani) 국민자문의회(MPR) 의장은 퇴역 장성들의 요구에 대해 프라보워 수비안토 대통령과 기브란 라카부밍 라카 부통령이 헌법에 따라 선출된 지도자임을 강조했다.
투쟁민주당(PDI-P) “타당한 제안”
PDI-P는 퇴역 장성 포럼의 부통령 교체 요구에 대해 민주주의 사회에서 다양한 의견이 제기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평가했다.
PDI-P의 데디 시토루스(Deddy Sitorus) 의원은 이러한 요구가 정책 개선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긍정적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며, 2024년 대선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와 편향성을 제대로 짚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부통령 교체 요구는 헌법 절차를 통해 논의되어야 한다”며 “정치적 안정과 국가 발전을 고려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모든 정치적 논의는 국민의 뜻을 반영하고 법적 정당성을 따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인니투데이 정치부
[저작권자(c) 인니투데이,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