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보워 수비안토 대통령이 해고 근로자를 지원하기 위한 ‘실업대책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한다.
미국의 관세 인상으로 인한 실업 사태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다.
프라보워 대통령은 해고된 근로자에게 새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며 TF 구성 배경을 밝혔다.
인도네시아 경제법률연구센터(CELIOS)의 대표이사 비마 유디스티라(Bhima Yhudistira)는 정리해고로 피해를 입은 근로자들이 퇴직금을 지급받을 수 있도록 TF가 역할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CELIOS에 따르면 올해 120만명의 인도네시아인이 일자리를 잃게 될 것으로 보인다.
다가올 노동절을 앞두고 퇴직금 미지급을 포함한 근로자의 권리 문제가 다시금 주목 받고 있다.
비마 유디스티라는 여전히 많은 기업들이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고 있으며, 이에 대한 법적 제재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실업대책 TF는 정규직, 비정규직을 떠나 정리해고에 영향을 받는 모든 근로자의 수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며 “이 데이터는 공정한 보상 절차를 위한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네시아 노동부에 따르면 2025년 첫 두 달간 1만8,610건의 해고 사례가 발생했으며, 이중 중부자바에서만 1만677건이 보고됐다.
비마 유디스티라는 많은 기업들이 인턴 채용과 아웃소싱을 늘리면서 정규직 근로자들의 해고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기업은 이를 통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지만, 근로자는 고용 불안정에 직면하게 된다. 정규직은 일자리를 보장받기 어렵고, 비정규직은 낮은 급여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게 된다.
한편 5월 1일 모나스 광장에는 노동절을 기념하기 위해 20만명 이상이 모일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네시아노동조합연맹(KSPI)의 사이드 이크발(Said Iqbal) 의장은 이날 아웃소싱 제도 폐지를 촉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노동절 행사에 프라보워 대통령이 참석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인니투데이 경제부
[저작권자(c) 인니투데이,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