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부자바에서 추진 중인 청소년 군사식 갱생훈련이 논란에 휩싸인 가운데 인도네시아 정부가 해당 정책을 전국으로 확대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나탈리우스 피가이(Natalius Pigai) 인권부 장관은 관련 규정을 마련하기 위해 교육부에 협조를 요청할 것이라고 밝혔다.
장관은 “데디 물야디 주지사가 프로젝트를 성공시킨다면 인권부가 가진 권한에 따라 해당 프로그램이 전국적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교육부 장관에게 규정을 제정하도록 전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피가이 장관은 데디 물야디가 도입한 군사식 갱생훈련에 찬성 입장을 밝히며, 인성 교육과 규율을 강화하는 효과적인 방식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정부는 양질의 교육을 제공할 책임이 있다”며 해당 정책이 젊은 세대의 정신력과 책임감을 함양하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교육 방식은 인권 침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국가인권위원회 및 심리학 전문가들의 반대 의견에 대해 그는 “훈련 과정에 폭력을 행사하는 등 신체적·정신적 학대가 자행되지 않는다면 충분히 교육적 가치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피가이는 학습 장소만 변경된 것이며 군이 직접 교육을 담당하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그는 “예를 들어 강연이나 세미나를 특정 장소에서 진행되는 것과 마찬가지 개념”이라고 말했다.
그는 2045년을 대비해 인재 양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2035년이면 우리는 이미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하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윤리적 가치와 강한 정신력을 갖춘 인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서부자바에서는 현재까지 106개 학교 총 272명의 청소년이 훈련소에 입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니투데이 사회부
[저작권자(c) 인니투데이,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