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년까지 화웨이 AI 서버 3천대 도입’
차관 발언 돌연 취소
말레이시아 정부가 중국 화웨이 반도체로 구동되는 인공지능(AI)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가 하루 만에 이를 사실상 철회했다.
입장 변화는 화웨이 AI 칩 ‘어센드’ 등을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이 대립하는 가운데 나왔다.
21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테오 니에 칭 말레이시아 디지털통신부 차관은 지난 19일 “말레이시아가 화웨이 어센드 칩 기반 AI 서버를 국가적 규모로 가동하는 세계 최초 국가가 될 것”이라고 연설에서 말했다.
그는 2026년까지 화웨이 AI 서버 3천 대를 도입할 예정이며,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도 말레이시아에 AI를 공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 사업 성사는 불투명해졌다.
블룸버그통신은 전날 차관실에 확인한 결과 별다른 설명 없이 화웨이 관련 발언을 취소한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화웨이도 말레이시아에 어센드 칩을 판매하지 않았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앞서 미 상무부는 13일 조 바이든 행정부 때의 AI 수출 통제 정책 폐기를 공식 발표하면서 “전 세계 어디에서든 화웨이 어센드 칩을 사용하면 미국의 수출 통제를 위반하는 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반도체 수출 규제를 풀어 미국 기술 영향력을 확대하는 동시에 중국 제재는 이어가겠다는 의도다.
그러자 중국 상무부는 21일 “미국의 조치는 전형적인 일방적 괴롭힘이자 보호주의 처사”라고 비판하며 미국의 조치를 실행한 조직·개인에 법적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말레이시아 디지털통신부의 이례적인 발언 취소에 미국의 압력이 작용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말레이시아는 트럼프 행정부의 AI 외교 시험대가 될 수 있는 국가라고 블룸버그통신은 설명했다.
말레이시아는 미·중 반도체 전쟁 속에서 미묘한 위치에 있다.
세계적 차원의 공급망 재편에 말레이시아는 새로운 생산 거점을 찾는 글로벌 기업을 대거 유치했다.
최근 수년간 구글,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등 미국 기업 데이터센터를 유치한 말레이시아는 세계에서 관련 시장이 빠르게 성장 중인 국가 중 한 곳이기도 하다.
말레이시아는 화웨이 등 중국 기업과도 적극적으로 협력해왔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2023년 미국 견제에도 5세대(5G) 이동통신 사업에 화웨이 참여를 허용했다.
중국 딥시크가 저비용 고성능 AI로 세계에 충격을 던진 지난 1월 미국산 첨단 반도체가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를 거쳐 중국에 유입됐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