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국군 통합운용…
파푸아뉴기니 국민 호주군 입대·시민권 취득 허용
호주가 남태평양에서 호주 다음으로 큰 나라인 파푸아뉴기니와 상호방위조약을 맺고 양국 군 전력을 통합 운용하기로 했다고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가 15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날 파푸아뉴기니 수도 포트모르즈비를 방문한 앨버니지 총리는 독립기념일 50주년인 오는 17일 자신과 제임스 마라페 파푸아뉴기니 총리가 조약에 서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조약에 따르면 양국 군대는 상대국 방어를 지원하고 전력을 통합 운용하게 된다.
특히 파푸아뉴기니 국민도 호주군에 입대해 동료 군인들과 같은 급료를 받으면서 호주 시민권 취득 절차를 시작할 수 있게 된다.
호주는 지난해부터 미국·영국·캐나다·뉴질랜드 등 영어권 주요 5개국 정보공유 협의체 ‘파이브 아이즈’ 소속 국가 국민의 호주군 입대를 허용해왔다.
앨버니지 총리는 호주 공영 ABC 방송에 “이는 (파푸아뉴기니와) 우리의 안보 관계를 조약 수준, 우리가 미국 등 중요 동맹국들과 함께하는 수준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이 조약의 파푸아뉴기니 주권 침해 우려에 대해 “사람들은 협약 내용을 보게 될 것”이라면서 “호주가 하는 것은 다른 나라들을 존중하면서 하는 합의이며, (상대국) 주권에 대한 존중은 그 중심에 있다”고 말했다.
빌리 조지프 파푸아뉴기니 국방부 장관은 “파푸아뉴기니의 안보가 호주의 안보이며, 호주의 안보가 파푸아뉴기니의 안보”라면서 이 조약으로 “지역 안보가 강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파푸아뉴기니는 인구 약 1천200만명으로 호주(약 2천800만명)에 이어 남태평양에서 인구가 2번째로 큰 국가여서 이번 조약 체결은 태평양에서 호주 등 서방 주도의 안보 체제 강화에 상당히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태평양 섬나라들을 대상으로 경제 지원 등을 앞세워 영향력을 확대하려 애쓰는 중국을 견제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앞서 2023년 양국은 파푸아뉴기니의 치안·사법 시스템을 지원하는 등 폭넓은 안보 협력 내용을 담은 협정을 체결했다.
호주는 지난 달 남태평양 섬나라 바누아투와도 경제·안보 협력 협정을 맺기로 합의했지만, 협정이 중국으로부터 인프라 투자 유치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바누아투 측에서 일면서 협정 체결이 연기됐다.
리처드 말스 호주 부총리 겸 국방부 장관은 피지, 통가와도 방위 협력을 진전시키는 방안을 계속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