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네시아 정치권에서 무비자 입국 제도를 다시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고개를 들고 있다.
인도네시아 하원(DPR, 국회) 제7위원회 부위원장 에비타 누르산티(Evita Nursanty) 의원은 최근 “주요 아세안 국가들이 중국, 인도, 유럽 등 핵심 시장을 대상으로 비자 면제를 확대하고 있는 반면 인도네시아는 여전히 규제를 유지하고 있다”며 “이대로라면 인도네시아가 관광 경쟁력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과거 169개국에 비자 면제를 허용했으나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이를 중단했다. 이후 재도입 논의가 이어졌지만 아직 구체적 조치는 나오지 않고 있다.
에비타 의원은 “발리, 라부안바조, 라자암팟, 만달리카, 토바호수 등 세계적 관광지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입국 규제와 절차 때문에 외국인 방문이 기대만큼 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올해 인도네시아를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 수는 1143만 명으로 말레이시아(2800만 명), 태국(2400만 명)과 큰 격차를 보였다.

에비타 의원은 무비자 입국이 재개되면 관광 소비가 늘고 지역 경제가 활기를 되찾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관광업뿐 아니라 숙박·교통·식음료업 등 관련 업종 전반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고용 확대와 투자 유치, 항공 노선 확충에도 긍정적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국가 안보와 출입국 관리 체계는 흔들림 없이 유지돼야 한다”며 “대상 국가나 체류 기간은 정부가 판단해 결정할 사안”이라고 덧붙였다.
입국 절차의 디지털 전환 필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에비타 의원은 “전자 심사나 위험 분석 시스템을 도입하면 입국 절차를 신속히 처리하면서도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며 “이미 여러 국가가 활용하고 있는 방식”이라고 말했다.
인니투데이 경제부
[저작권자(c) 인니투데이,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