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8일 금요일

KOR-CATCHUP-TOP

KOR-CATCHUP-SUBTOP

Home아세안 뉴스베트남, 美 46% 관세 발효 직전 막판협상 속도…부총리 급파

베트남, 美 46% 관세 발효 직전 막판협상 속도…부총리 급파

트럼프 미 대통령과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 / AFP 연합뉴스

폭 부총리, 미 재무·상무장관과
회담 위해 워싱턴DC로

총리 “미국산 방위물자 등 더 많이 구매…
비관세 장벽도 검토”

미국이 베트남에 부과한 46%의 초고율 상호관세 시행이 임박한 가운데 베트남 정부가 대미 협상을 서두르고 있다.

8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호 득 폭 베트남 부총리가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만나기 위해 전날 워싱턴DC로 이동했다고 소식통들이 전했다.

폭 부총리는 앞으로 며칠 안에 베선트·러트닉 장관과 회담을 할 계획이다.

하지만 미 동부 시간으로 오는 9일 상호관세가 발효되기 전에 회의가 열릴지는 불확실하며, 미국과 베트남이 조만간 합의에 도달할지도 낙관적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상호관세 부과를 최소 45일간 연기해달라고 요청했다.

럼 서기장은 서한에서 폭 부총리를 대미 협상의 주요 연락 담당자로 임명하고 “가능한 한 빨리 합의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

특히 내달 말에 자신이 워싱턴DC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이 문제를 마무리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팜 민 찐 베트남 총리도 성명을 내고 “미국 측에 접근, 협상해 양자 합의에 이르러 지속 가능한 무역수지를 향해 나아갈 것”이라고 천명했다.

이를 위해 안보·방위 관련 물자를 포함해 베트남에 수요가 있는 미국산 상품을 더 많이 구매하고 항공기 거래 계약의 조기 인도를 촉진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통화 정책, 환율, 비관세 장벽, 상품의 올바른 원산지 보장과 같은 문제를 검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미국 관세 발표 이후 럼 서기장은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에서 “만약 미국과 협정을 맺을 수 있다면 베트남의 관세를 ‘0’으로 낮추고 싶다”고 밝혔다.

럼 서기장은 또 미국산 수입품 관세 인하·미국산 수입 확대를 약속하면서 동시에 미국의 베트남산 상품 수입 관세도 비슷한 세율을 적용하자고 제안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책사’로 꼽히는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은 7일(현지시간) 베트남의 관세 철폐 제안에 대해 “그것은 아무 의미가 없다. 왜냐하면 중요한 것은 비관세 사기(cheating)이기 때문”이라고 CNBC에 밝혔다.

나바로 고문은 “포인트는 우리와 이야기를 하고 싶어 하는 사람은 누구든 비관세 장벽을 낮추는 것에 대해 말해야 한다는 것”이라면서 “그들이 해야 하는 것은 모든 부정행위를 중단하겠다고 우리에게 말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 관세 관련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전날 공휴일로 휴장한 뒤 이날 거래를 재개한 베트남 호찌민 증시의 대표 지수인 VN지수는 이날 오후 2시 13분 현재 전 거래일보다 6.43% 급락한 채 거래되고 있다.

세계적 신용평가사 피치 계열사인 리서치회사 BMI는 보고서에서 미국의 베트남 상대 관세율이 예상보다 더 가혹했다고 평가하고 이에 따라 올해 베트남 경제성장률이 당초 7.4%보다 3%포인트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연합뉴스]

RELATED ARTICLES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TODAY NEWS HEADLINES

KOR-CATCHUP-SIDE-A

KOR-CATCHUP-SIDE-B

최신 기사

error: Content is protected !!
Secured By miniOr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