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푸아뉴기니 국민 최대 1만명 호주군 복무”…
中 “주권 훼손” 반발
남태평양 파푸아뉴기니가 호주와 체결을 연기했던 상호방위조약을 승인, 양국이 군사 동맹을 맺게 됐다.
2일(현지시간) AFP 통신과 호주 공영 ABC 방송 등에 따르면 제임스 마라페 파푸아뉴기니 총리는 내각이 호주와 상호방위조약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 조약에 따르면 양국 군대는 군사력을 통합 운용하고, 상대국이 군사 공격을 받을 경우 서로 방위를 지원한다.
특히 파푸아뉴기니 국민도 호주군에 입대해 동료 군인들과 같은 급료를 받으면서 호주 시민권 취득 절차를 시작할 수 있게 된다.
마라페 총리는 조약에 따라 최대 1만 명의 파푸아뉴기니 국민이 호주군에 복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 조약은 호주의 국방 역량을 활용해 파푸아뉴기니의 국방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해준다”고 강조했다.
호주 정부 대변인도 “이 조약은 파푸아뉴기니와의 관계를 미국·뉴질랜드와 같은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이미 굳건한 국방력, 경제, 국민 간의 유대감을 더욱 강화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약으로 파푸아뉴기니는 미국·뉴질랜드에 이어 호주의 세 번째 군사 동맹이 됐다.
파푸아뉴기니는 인구 약 1천200만명으로 호주(약 2천800만명)에 이어 남태평양에서 인구가 2번째로 큰 국가여서 이번 조약 체결은 태평양에서 호주 등 서방 주도의 안보 체제 강화에 상당히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태평양 섬나라들을 대상으로 경제 지원 등을 앞세워 영향력을 확대하려 애쓰는 중국을 견제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당초 양국은 지난달 중순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의 파푸아뉴기니 방문 당시 조약을 체결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파푸아뉴기니에서 이 조약이 자국 주권을 훼손하고 호주·서방과 중국 사이에서 어느 한쪽을 적으로 삼지 않으려는 자국 외교 정책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는 반발이 나왔다.
이에 따라 당시 두 정상은 상호방위조약 체결을 연기하고 대신 앞으로 조약을 맺을 것이라는 취지의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파푸아뉴기니 주재 중국 대사관은 앨버니지 총리의 방문 이후 파푸아뉴기니가 상호방위조약에 서명해 자국의 주권과 이익을 훼손하지 말라고 촉구하는 등 조약에 반발하고 있다.
앞서 2023년 호주는 파푸아뉴기니와 치안·사법 시스템 지원 등 폭넓은 안보 협력 내용을 담은 협정을 맺었다.
호주는 지난 8월 남태평양 섬나라 바누아투와도 경제·안보 협력 협정을 맺기로 합의했지만, 협정이 중국으로부터 인프라 투자 유치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바누아투 측에서 일면서 협정 체결이 연기됐다.
호주는 다른 남태평양 섬나라 피지, 통가와도 방위 협력을 진전시키는 방안을 계속 논의 중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