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네시아 연간 경제성장률이 3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프라보워 대통령의 8% 성장 목표 달성이 어려워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인도네시아 중앙통계청(BPS)이 5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1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전년 동기 대비 4.87%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4분기의 5.85%보다 0.98%p 낮은 수치다.
이번 결과는 인도네시아가 글로벌 무역 긴장 속 국내 수요 확대하려는 전략에 경고 신호를 보내고 있다.
특히 국민 생산의 핵심인 가계 소비는 올해 1분기에 4.89% 증가에 그쳐, 지난해 말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라마단 연휴 등 소비 성수기에도 불구하고 소비심리가 위축되었음을 보여준다.
정부가 전기요금 인하, 항공권 할인 등 각종 부양책을 실시하고, 인플레이션 또한 비교적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내수 회복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정부 지출이 1.38% 감소하면서 전체 경제 활동을 위축시키고 있다. 프라보워 대통령은 최근 인프라 및 관광 등의 예산을 줄이고, 무상급식 같은 사회복지에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고정자산투자 지표인 실질 고정자본형성총액은 2.12% 증가에 그쳤으며, 이는 2년 만에 가장 낮은 증가율이다. 전문가들은 미국 관세의 불확실성이 인도네시아 기업들의 투자를 위축시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인도네시아 중앙은행이 추가적인 통화 완화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앞서 인도네시아 중앙은행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으며, 지난 세 달간 금리를 동결하며 통화 가치를 방어해왔다. 그러나 글로벌 경제 침체와 수출 시장 불확실성에 직면한 인도네시아는 올해 전체 성장률이 5% 이하로 떨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인니투데이 경제부
[저작권자(c) 인니투데이,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