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리 주정부가 1리터(L) 미만 생수병 생산을 전면 금지한데 이어 내년부터 플라스틱 포장재(sachet) 생산도 금지할 계획이다.
발리 부지사 이 뇨만 기리 쁘라스따(I Nyoman Giri Prasta)는 지난 22일 덴파사르에서 “관련 연구를 바탕으로 논의 중에 있으며, 늦어도 내년에는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주정부가 현재 생수병 생산 금지에 집중하고 있으며, 향후 플라스틱 포장재 전반에 대한 규제도 추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국가 폐기물 관리 정보 시스템에 따르면 2024년 기준 발리의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량은 약 120만톤에 달한다.
한편 현지 생수 업계는 반발하고 있다.
생수 생산업체 띠르따 따만발리(CV. Tirta Tamanbali)의 대표이사 이 그데 위라디티야 사무하타(I Gde Wiradhitya Samuhata)는 “환경보호도 중요하지만 업계와의 사전 협의 없이 시행되는 규제는 논란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띠르따 따만발리는 회사의 공식 입장과 법률 의견서를 인도네시아 생수협회(Aspadin)에 전달할 예정이다.
또 다른 생수 업체 띠르따 뭄불 자야 아바디(PT Tirta Mumbul Jaya Abadi)의 대표이사 뇨만 아르타 위디아나(Nyoman Arta Widyana)는 “설탕, 커피, 조미료 등 대부분의 소비재가 플라스틱 포장재를 사용하고 있는데 생수 업체에만 책임을 묻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고 주장했다.
이들 기업들은 플라스틱 포장재 생산 금지보다 재활용 정책, 공공 교육, 생산자 책임 강화를 통한 폐기물 관리 체계 개편 등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발리는 매년 약 3만3000톤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수로를 통해 해양으로 유입된다. 올해 1월에는 남부 끄동아난 해변이 파도에 밀려 온 쓰레기로 뒤덮이기도 했다. 당시 현지 주민과 호텔 직원, 자원봉사자 등 600여 명이 투입돼 일주일간 청소 작업을 벌였다. 수거된 쓰레기만 25톤에 달했다.
쓰레기 문제가 심각해지자 인도네시아 정부는 지난 2월부터 외국인 관광객에게 1인당 15만 루피아(약 1만3,000원)의 관광세를 부과하고 있다. 발리 주정부는 인도네시아 중앙정부에 2년간 주요 관광지 내 신규 호텔·리조트, 클럽 등의 건설 허가 중단을 요청하기도 했다.
지난 4월부터는 자체적으로 기업과 관공서, 학교, 식당 등에서 비닐과 스티로폼 제품, 플라스틱 빨대 등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을 금지한 상태다. 여기에 생수병 생산 금지까지 더해지며 환경 규제 강도를 높이고 있다.
인니투데이 사회부
[저작권자(c) 인니투데이,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