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네시아의 해고 바람은 올해에도 계속될 전망이다.
올 1분기 해고된 근로자만 1만8000여명에 이른다고 하원 제7위원회(에너지·광물자원·연구기술·환경 분야) 소속 요욕 리요 수디브요(Yoyok Riyo Sudibyo) 의원이 밝혔다.
요욕 의원은 15일 성명에서 “이것은 단순한 숫자의 문제가 아니다. 소득을 잃은 가정, 교육 기회를 빼앗긴 아이들,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소외되는 지역사회의 문제다. 결국 이 해고 사태는 인도네시아 사회 전체가 겪고 있는 고통의 단면”이라고 말했다.
요욕 의원은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을 촉구하며, 노동집약적 산업 보호에 대한 시급성을 지적했다. “글로벌 경제 위기와 국내 여러 상황으로 인해 많은 산업들이 타격을 입고 있다. 특히 노동집약적 산업을 보호하지 않으면 대량 해고 사태는 반복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또한 실업자들이 빠르게 노동 시장에 적응할 수 있도록 교육 및 직업 훈련 프로그램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해고된 근로자들이 시장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직업 교육과 훈련을 강화하고, 창의적이고 비공식적인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요욕 의원은 말했다.
한편, 인도네시아 노동조합연맹(KSPI)이 3월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올 2월까지 노조 가입 기업 50곳에서 총 6만명의 근로자가 직장을 잃었다.
KSPI의 사이드 이크발(Said Iqbal) 의장은 “사업 축소와 파산 등의 이유로 대규모 해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현재까지의 실업자 수는 작년 한 해 수준에 맞먹는다. 7월에는 실업자 수가 15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노동부 데이터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실업자 수는 △2022년 2만5,114명 △2023년 6만4,855명 △2024년 7만7,965명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파라마디나 대학의 경제학자 위자얀토 사미린(Wijayanto Samirin)은 “통제되지 않는 부패와 밀수, 계속해서 바뀌는 정부 정책으로 인한 사업 환경 악화가 대량 해고의 주요 원인”이라며 “정부가 더 많은 근로자를 흡수하고, 주요 납세자인 제조업과 소매업 부문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진단했다.
인니투데이 경제부
[저작권자(c) 인니투데이,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