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차 수요정체·인프라 부족
정책 혼선·지분구조 이견이 원인”
인도네시아 정부가 추진해온 전기차 배터리 밸류체인(가치사슬) 구축 사업에서 LG에너지솔루션을 중심으로 한 LG 컨소시엄이 투자 계획을 철회하면서 글로벌 전기차 허브를 꿈꾸던 인도네시아의 야망에 충격이 가해졌다고 현지 자카르타 포스트가 29일 보도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20년 인도네시아 정부와 업무협약(MOU)를 맺고 니켈 광산 채굴-제·정련-전구체-양극재-배터리셀 생산으로 이어지는 그랜드 패키지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했다.
전기차 배터리의 ‘완결형 밸류체인’을 구축하는 프로젝트로 총 사업비는 약 129조 루피아(약 11조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이후 LG에너지솔루션은 LG화학·LX인터내셔널·포스코·중국 배터리 소재기업 화유 등과 컨소시엄을 꾸려 사업을 진행해 왔다.
하지만 LG에너지솔루션이 결국 이 사업에서 발을 빼기로 한 이유에 대해 자카르타 포스트는 우선 전기차 수요 성장세 둔화를 꼽았다. 최근 전기차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 등으로 배터리 시장 상황이 악화하고 관세 전쟁 등으로 투자 여건이 급변하면서 프로젝트를 철회하게 됐다는 설명이다.
여기에 인도네시아의 인프라 부족과 일관성 없는 정책도 문제로 꼽았다.
인도네시아는 풍부한 원자재를 바탕으로 이를 가공하는 후방산업을 키우겠다며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고 있다. 그러나 LG 컨소시엄이 투자하려던 니켈 광산이 있는 술라웨시나 말루쿠 제도는 워낙 인프라가 부족해 투자에 나서기 어려웠다는 것이다.
또한 인도네시아는 전기차 산업 활성화를 위해 각종 인센티브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정책 대상을 확대하면서 니켈 기반 배터리뿐 아니라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사용한 전기차에도 똑같은 혜택을 주고 있다.
세계 최대 니켈 매장·생산국인 인도네시아라면 니켈이 들어가지 않는 LFP 배터리 전기차는 배척하는 정책을 펼쳤어야 하는데 같은 혜택을 주다 보니 인도네시아 내에서도 상대적으로 저렴한 LFP 배터리 전기차에 수요가 몰리는 상황이 조성됐다.
자카르타 포스트는 “니켈 생태계에 대한 지원이 집중되지 않다 보니 심층 투자가 저해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