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상급식(MBG) 시행 이후 8개월간 인도네시아에서 4000명에 달하는 학생들이 식중독 피해를 입은 것으로 조사됐다.
인도네시아 경제금융개발연구소(INDEF)는 지난 4일 열린 온라인 토론회에서 “무상급식 프로그램 시행 이후 식중독 피해자가 4000명에 이른다”며 “정부는 내년 예산안에 335조 루피아(약 29조원)를 배정한 무상급식 사업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INDEF 연구원 이주딘 알 파라스 아다(Izzudin Al Farras Adha)는 “식중독 피해를 단순한 통계 수치로만 받아들여서는 안된다”며 “이는 무상급식 프로그램의 관리 체계에 심각한 문제가 있음이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가 무상급식 프로그램을 전국으로 확대하기에 앞서 철저한 평가가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2026년 국가예산 3700조 루피아(약 314조원) 가운데 약 10%를 무상급식(MBG)에 투입할 계획이다.
이주딘은 “무상급식에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급식 품질과 위생 관리에 문제가 드러나면서 국민의 의심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INDEF 선임 연구원 아빌리아니(Aviliani)는 무상급식 프로그램이 무상급식 프로그램이 지역 중소기업의 참여를 유도하는 데에도 실패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중소기업이 참여하려면 자체 주방과 조리 인력을 갖춰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며 “요건을 완화해야 지역 업체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가장 최근 발생한 식중독 사고는 지난달 27일 븡꿀루주(Provinsi Bengkulu) 레봉 군(Kab.Lebong)에서 발생했다. 급식을 먹은 유치원생과 초등학생 150명이 식중독 증세를 보여 병원으로 옮겨졌다.
레봉 교육문화청장 직무대행 파흐루로지(Fachrurozi)는 “경찰과 함께 현장을 직접 점검했으며, 병원 수용 인원이 부족할 경우를 대비해 별도 공간도 마련했다”고 밝혔다.
한편, 줄키플리 하산(Zulkifli Hasan) 식품조정장관은 앞서 “식중독 사례는 일부 학생의 알레르기나 특정 식재료에 대한 생소함 때문”이라며 “조리 과정의 문제는 아니다”라고 해명해 논란을 빚기도 했다.
인니투데이 사회부
[저작권자(c) 인니투데이,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