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신디지털부 “8월 대규모 반정부 시위 때
온라인 도박 생중계”
인도네시아 정부가 온라인 도박 생중계 의혹과 관련한 트래픽 자료를 제출하지 않은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에 운영 일시 정지 조치를 했다.
4일(현지시간) 블룸버그·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통신디지털부는 전날 틱톡의 자국 내 운영 허가를 일시 정지했다고 밝혔다.
인도네시아 당국은 지난 8월 말 벌어진 대규모 반정부 시위 당시 온라인 도박 관련 계정이 틱톡의 라이브 스트리밍(생중계) 기능을 이용했다며 트래픽, 스트리밍 자료, 수익 데이터 등을 요청했으나 틱톡은 일부 자료만 제출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허가 규정을 준수하기로 한 모든 기업은 감독하는 정부에 자료를 제출해야 하며 이를 이행하지 않으면 운영이 정지될 수 있다.
알렉산더 사바르 통신디지털부 국장은 “지난달 16일 틱톡(관계자)을 소환해 직접 설명을 요구했고, (우리가) 요청한 전체 자료를 같은 달 25일까지 제출할 시간도 줬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틱톡은 지난달 23일 문서를 통해 자료 요청과 관련해서는 내부 방침과 절차가 있다며 데이터를 제공할 수 없다는 입장을 통신디지털부에 밝혔다.
사바르 국장은 “틱톡이 민간 전자 시스템 운영자로서 의무를 위반한 것으로 판단한다”며 “감독 차원에서 (운영) 일시 중지 조치를 했다”고 덧붙였다.
다만 통신디지털부는 언제까지 인도네시아에서 틱톡 운영을 중지한다는 설명은 하지 않았으며 전날까지도 현지에서 누리꾼들은 틱톡을 이용했다.
틱톡 대변인은 전날 성명에서 “회사는 현지 법규를 준수한다”며 “통신디지털부와 이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틱톡은 지난 8월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를 중심으로 일어난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폭력 사태로 번지자 생중계 기능을 일시 중단한 바 있다.
당시 틱톡 대변인은 “자발적 안전 조치 차원”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중국 바이트댄스가 모회사인 틱톡은 2021년부터 틱톡 플랫폼을 활용해 인도네시아에서 유명 인플루언서들이 물건을 판매하는 ‘틱톡숍’을 운영했다.
틱톡숍은 1억2천500만명에 이르는 인도네시아 틱톡 가입자를 등에 업고 빠르게 성장했다.
그러나 지난해 인도네시아 정부가 자국 전자상거래 업체들을 보호한다며 소셜미디어에서 물건을 판매하지 못하도록 했고, 틱톡은 틱톡숍 운영이 막히게 되자 경영난을 겪던 인도네시아 최대 전자상거래업체인 토코피디아를 인수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