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의 실리콘 밸리” 페낭,
18개월 새 기업 수십개 신설•증설
고부가가치 분야 진출 야심…
인력 부족•정치 문제는 리스크
치열해지는 미국과 중국 간 반도체 전쟁의 승자는 놀랍게도 말레이시아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11일(현지시간) 지정학적 혼란에 따라 중국의 대체지를 물색하는 이른바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에 힘입어 말레이시아가 기업들의 투자처로 주목받고 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말레이시아 북부의 페낭 주에는 지난 18개월 동안 기업 수십 개가 설립되거나 확장에 나섰다.
이들 중에는 미국의 거대 반도체 기업인 마이크론과 인텔을 비롯해 유럽의 반도체 기업들인 AMS 오스람(AMS Osram)과 인피니언(Infineon)이 포함돼 있다.
인텔의 경우 1972년 이곳에 미국 외 지역으로는 처음으로 생산 시설을 세웠다. AMD와 일본 르네사스(옛 히타치), 키사이트 테크놀로지스(옛 휴렛팩커드) 등이 뒤따르면서 이 지역은 “동양의 실리콘 밸리”로도 불렸다.
인쇄회로기판 제조업체인 심텍을 비롯한 한국 기업과 일본 기업뿐만 아니라 중국 기업들도 다수 진출하고 있다.
중국 기업들은 미국의 제재를 피해 서방 주요 고객들에 제품 공급을 계속하기 위해 페낭과 같은 동남아시아로 나가고 있다.
현재 페낭에는 55개 중국 본토 기업이 제조업, 주로 반도체 분야에서 사업을 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미국의 중국 견제가 시작되기 이전에는 16개에 불과했다.
말레이시아는 반도체 제조 공급망의 패키징, 조립, 테스트 부문에서 50년의 역사가 있으며, 현재 전 세계에서 이 부분의 13%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 매년 미국 반도체 수입의 20%를 차지하는 원산지이며, 이는 대만과 일본, 한국보다 많다.
말레이시아는 이제 더 나아가 반도체 산업의 첨단 분야로 진출하려는 야심을 갖고 있다.
말레이시아에 대한 외국의 투자도 크게 늘고 있는데, 페낭 주정부의 경우 지난해에만 128억달러(16조8천억원)의 외국인직접투자(FDI)를 유치했고, 이는 2013년부터 2020년까지 모두 더한 금액보다 많다.
인텔은 올해 말 완공 예정인 “3D” 고급 패키징 공장을 포함해 말레이시아의 새 시설에 70억달러(9조2천억원)를 투자하고 있다. 마이크론과 독일 인피니언도 대규모 시설 확장에 나섰다.
페낭 출신인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는 FT 인터뷰에서 자국 반도체 산업을 고부가가치 제조업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한 목표”라며 말레이시아 역사에서 “새 출발 하는 매우 중요한 순간”에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말레이시아의 반도체 산업 발전에는 심각한 인재 부족, 다른 기업들을 끌어들일 수 있는 자국의 유력 반도체 기업의 부재라는 장애물이 있다.
정치도 하나의 리스크다.
말레이시아 FDI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미국은 2022년에 출범한 안와르 정권이 중국 쪽으로 기울고 있다며 압력을 가한 바 있다.
미국이 중국 기술에 대한 단속을 강화할 수도 있다. 중국 기업들이 말레이시아에서 제조한 제품과 장비가 규제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의 지역 책임자인 가우탐 푼탐베카르는 “반도체에 관해 이야기할 때 말레이시아는 변함없는 대화의 일부”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으로부터 공급망 다각화는 여전히 기업의 최우선 과제이고 올해 미국 대선을 앞두고 이는 가속할 것이라며, 페낭을 “아시아에서 흥미로운 지역 중 하나”로 만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